자궁선근증 증상

    안녕하세요 텔크테입니다.

    여성은 태아가 자라나는 공간인 자궁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궁을 통해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며, 안전하게 태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자궁의 건강관리가 여성에게는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자궁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들이 도사리고 있으며, 그 중 자궁선근증은 대표적인 자궁 질환 중 하나입니다. 다음으로 자궁선근증 원인과 증상, 진단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궁선근증이란?

    자궁선근증이란 자궁선종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자궁 내막 조직이 과도하게 자라게 되어 자궁의 부피가 증가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임신을 하지 않았는데도, 마치 임신을 한 것 처럼 부풀어 올라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받기도 합니다. 자궁선근증은 주로 출산의 경험이 있는 4~50대 여성에게 발생하지만, 최근 20대 여성에게도 발생하고 있으며, 여성의 10~20%에서 발생할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자궁선근증(자궁선종)은 자궁근종과 이름이 유사하여 서로 연관이 있는 질병으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자궁 근종은 자궁의 근육 내 세포가 자라는 것이며, 자궁선근증은 자궁의 표면을 이루는 내막조직이 자라는 경우이므로 둘은 완전히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으로 스며들어 자라면서 자궁이 커지게 된다는 가설과, 자궁근층의 조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또한, 배출되지 못한 생리혈이 자궁 안에 남거나, 산후 자궁회복이 더딜 경우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증상

    자궁선근증 환자 1/3 정도는 증상이 없는 무증상상태입니다. 그렇다는 말은 2/3은 자궁선근증으로 인한 증상이 있다는 뜻인데요, 다음으로 자궁선근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생리통, 생리 출혈 과다 : 자궁선근증은 생리통과, 생리시 출혈이 과도하게 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도하게 출혈이 발생하여 빈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하복부 통증, 골반 통증 : 생리 주간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하복부에 통증이 심하게 나타나며, 골반이 어긋나는듯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생리시 다리가 저리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하복부의 심한 압박감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불임, 난임 : 자궁선근증이 가장 무서운 점은 바로 불임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모든 환자에게 불임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자궁선근증 환자가 자궁선근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임신 확률이 낮고, 유산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임신이 잘 되지 않는 난임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진단

    자궁선근증은 초음파검사와 MRI 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간접적인 진단일 뿐이며 자궁 수술을 통해 조직을 검사하여 자궁 내막 조직의 증식을 판단하게 되면 자궁선근증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게 됩니다.

     

    자궁선근증 치료

    자궁선근증의 치료방법은 그 원인이 되는 자궁 전체를 절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임신을 희망하는 사람에게는 부적절하므로,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하거나, 경구 피임약과 진통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자궁선근증 원인과 증상, 진단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