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추벽증후군이란 무엇이며, 어떤 증상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텔크테입니다.

    추벽이란 아기가 태어나고 자라나면서 형성된 무릎 연골 주위에 생긴 얇은 막으로 정상인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는 것입니다. 추벽은 생후 12주에서 16주가 지나게 되면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들어 사라지게 됩니다. 다음으로 무릎 추벽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및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릎 추벽증후군이란?

    무릎 추벽증후군이란, 성장하면서 사라져야 할 무릎의 추벽이 사라지지 않고 성인이 되어 골격이 완벽히 자라났음에도 남아있어 무릎의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추벽은 한국인 3명 중 1명이 성인이 되어서도 사라지지 않고 가지고 있어, 무릎 추벽증후군으로 발병할 우려가 높은 질병입니다.

     

    무릎 추벽증후군 원인

    물론, 무릎의 추벽이 성인이 됐음에도 남아있다고 해서 모두에게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무릎에 심한 충격을 받는다거나,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여 반복적으로 무릎을 혹사하는 경우 무릎의 추벽이 딱딱해지고 커지게 되어 무릎의 통증을 유발하게 될 수 있습니다.

     

    무릎 추벽증후군 증상

    무릎 추벽증후군은 무릎을 구부렸다 피게 되면 통증이 생기며, "딱"하는 소리가 나게 됩니다. 또한, 계단을 오르거나 쭈그려 앉아 무릎을 많이 쓸 때에는 더욱 통증이 심해지게 됩니다. 또한 여름보다는 겨울에 무릎의 통증이 더욱 심해지고, 무릎이 심하게 붓거나 굳는듯한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무릎 추벽증후군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많이 발병하게 되며 무릎을 자주 쓰는 특정 직업군에게 많이 발생하며, 축구나 등산을 하다가 무릎의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면 무릎 추벽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무릎 추벽증후군 치료 방법

    무릎 추벽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일상생활 속에서 통증의 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로 나뉘게 됩니다. 다음으로 무릎 추벽증후군의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보존적 치료 방법 : 무릎 추벽증후군의 통증이 감내할 만큼 심하지 않고, 통증이 가해지는 특정 자세를 굳이 오래 취할 필요가 없는 경우 보존적 치료 방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방법에는 연골 주사와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이 있습니다.
    • 수술 치료 : 본인이 운동선수라서, 무릎 추벽증후군을 초래하는 자세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면, 수술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때 관절내시경을 통해 추벽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무릎 추벽증후군 예방 방법

    무릎 추벽증후군이 그렇게 심하지 않다거나, 특정 자세를 취해야만 통증이 느껴질 때 굳이 수술하지 않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습관을 고친다면 무릎 추벽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데요, 장시간 등산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행위는 무릎 추벽 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하며, 계단을 오르는 행위 또한 최대한 줄이 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쪼그려 앉는 것을 자제해야 하며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등의 지나치게 무릎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삼가는 게 좋습니다.

     

    마치며

    무릎은 흔히 소모품이라고 불립니다. 무릎을 오래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그 기능이 쇠퇴하기 때문인데요, 한번 기능을 잃어버린 무릎은 웬만해선 돌아오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평소 무릎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삼가 는 것이 좋습니다. 100세 시대에 무릎을 건강하게 유지하여 활기찬 노후를 보내는 건 어떨까요? 이상으로 무릎 추벽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및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