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 차이(만나이 시행으로 달라지는 것들, 오해)
- 생활 정보
- 2023. 6. 30.
2023년 6월부로 최대 2살까지 나이가 줄어드는 만나이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모든 정책이 그렇겠지만, 처음 정책이 시행되면, 여러 가지 혼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혼돈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점차 사라지기 마련인데요, 현재는 만나이 정책이 시행되고 나서 아주 조금의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사람들끼리의 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만나이와 연나이 그리고 세는나이의 차이와 만나이 시행으로 달라지는 것들, 그리고 만나이 시행으로 벌어질 오해들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 차이(만나이 시행으로 달라지는 것들, 오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알아보기
[1] 만일, 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의 차이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2] 만나이 시행으로 인해 달라지는 것들과 만나이 관련 오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 차이
대한민국에서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만나이를 비롯하여, 연나이, 세는나이의 총 3가지 나이 계산법이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각각의 나이 계산법은, 여러 가지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만나이 : 만나이는 아주 오래전부터 대한민국의 민법상 표준이 되는 나이로, 2023년 6월 28일부로 만 나이로 공식적인 서류나 문서 등이 통일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만나이는, 아이가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0살로 표기하고, 그 아이의 생일이 다가오면 1살씩 나이를 먹는 방식입니다.
- 연나이 : 연나이는, 출생 시에 만나이와 같이 0살로 표기되지만, 이듬해 생일이 다가오면 1살을 먹는 것이 아닌, 이듬이 1월 1일이 되면, 1살을 먹는 것입니다. "연나이 = 현재연도 - 출생연도"
- 세는나이 : 세는나이는 연나이와 비슷하게 1월 1일이 되면 1살을 더 먹게 되지만, 태어난 날을 0살로 기준 잡는 연나이와는 달리, 세는나이는 태어난 날을 1살로 기준 잡게 되는데요, 이러한 세는 나이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편화된 나이 계산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 나이 시행으로 달라지는 것들
그렇다면 만 나이 시행으로 어떤 것들이 달라지게 될까요?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대중교통 무료입장 가능 나이 여부
- 의약품 섭취 가능 나이 여부
- 각종 서류에 나이에 관련된 확실한 기준 정립
- 외국인과의 나이 혼선 제거
- 빠른 년생과의 꼬인 족보 해결
만 나이 시행과 관련된 오해(만 나이로 바뀌지 않는 분야)
그렇다면, 만 나이로 바뀌지 않는 분야와, 만 나이 시행과 관련된 오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청소년 보호법(생일이 지나지 않은 성인) : 만 나이 시행으로 인해 가장 혼란을 빚게 될 나이가 바로, 올해 성인이 되었지만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일 텐데요, 하지만 청소년 보호법은 만 나이를 적용하지 않고, 만 19살이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자를 성인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 초등학교 입학 연령 : 초등학교 입학 연령은 만 7세로 규정되어 있는데요, 하지만 초중등 교육법에 따르면, 아동 보호자의 판단에 따라 입학 시기를 1년 앞당기거나 1년 늦출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 공무원 시험 응시 연령 : 공무원 시험 응시 연령 또한 만나이 적용을 하지 않습니다.
- 병역 의무 : 병역 의무는 예전부터 만나이가 아닌, 연 나이로 계산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기준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아래 생활 정보 관련 다른 글들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부림 예고 목록 / 살인 예고 목록 / 칼부림 사건 결과(2023.08.06 기준) (0) | 2023.08.06 |
---|---|
신림동 칼부림 사건 범행 이유(피해 상황, 가해자 정보) (0) | 2023.07.23 |
NH 농협은행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가입 조건 알아보기 (0) | 2023.06.18 |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제출 서류(나도 해당 될까?) (0) | 2023.04.25 |
69시간 근무제 장점 단점 근무시간 연봉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