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시간 근무제 장점 단점 근무시간 연봉

    우리나라에서는 주 52시간 근무제의 도입으로 인해, 기본 40시간의 근무시간 이외 최대 12시간의 연장 근무만 허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주 69시간 근무제라는 새로운 근무체계가 도입 될 수 있다는 소식이 날아들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69시간 근무제는 어떠한 장점, 단점이 있으며, 하루에 몇 시간을 근무하며, 기존의 근무 방식과 어떠한 연봉 차이가 있을까요? 다음으로, 69시간 근무제 장점 단점 근무시간 연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알아보기

    [1] 만일 69시간 근무제의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셨다면, 아래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2] 69시간 근무제를 통해 실제 근무시간과 연봉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근무제 - 주 52시간 근무제

    우리나라의 근무 체계는 주 52시간 근무제를 따르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본 근무 시간 40시간 : 주 52시간 근무제의 기본 근무 시간은, 휴게 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8시간에 5일을 곱하여 40시간입니다.
    • 연장 근무 시간 12시간 : 만일, 기본 근무 시간 이외에 야근이나 초과, 연장 근무를 하고 싶으시다면, 주 최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총 근무 시간 52시간 : 기본 근무 시간과 연장 근무 시간을 합한 52시간이, 한 주에 최대로 근무할 수 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9시간 근무제

    그렇다면 주 69시간 근무제와 주 52시간 근무제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아래에서 주 69시간 근무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퇴근 후 출근까지 11시간 휴식 : 69시간 근무제는, 퇴근 후 출근까지 11시간 동안의 연속 휴식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녁 10시에 퇴근한 경우, 다음날 9시까지 출근하면 됩니다.
    • 11시간 미휴식 시 주 64시간 상한 : 만일, 11시간 휴식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주에 64시간만 근무할 수 있도록 상한을 제한해두었습니다.
    • 하루 최대 근무 시간 11.5시간 : 하루 최대 할 수 있는 근무 시간은, 24시간에서 연속 휴식시간 11시간을 뺀, 13시간이며, 여기서 4시간마다 주어지는 30분 휴무를 13시간에 적용하게 되면, 총 1시간 30분을 쉴 수 있으므로, 13시간에서 1시간 30분을 제외하게 되면, 11.5시간을 근무할 수 있습니다.
    • 6일간 11.5시간씩 근무하게 되면 69시간 : 이렇게 표출된 11.5시간을 6일간 적용하게 되면, 주 69시간 근무제가 완성됩니다.

    주 69시간 근무제 장점

    • 주 단위가 아닌,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사용 가능 : 기존 주 52시간 근무제는, 한 주 최대 52시간을 근무할 수 있었다면, 주 69시간 근무제는, 주 단위가 아닌,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근무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초과 근로 시 근로 시간 감소나 휴가로 보상 : 일정 초과 근로 시 근로 시간이 줄어들거나 이를 휴가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바쁜 시기에 몰아서 근무 가능 : 바쁜 시기가 정해져있는 직업의 경우, 이 시기에 몰아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 한가한 시기에 적게 근무 가능 : 특정 프로젝트가 끝나 한가한 경우, 근무를 적게하거나 휴가를 갈 수 있습니다.
    • 기업의 생산성 증가 : 기업 입장에서는, 성수기에 일을 몰아서 할 수 있고, 비수기에는 일을 적게 할 수 있어 기업의 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근로자 개인의 소득 증가 : 많은 소득을 원하는 근로자의 경우, 기존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해, 추가 근무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면, 주 69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인해, 더 많은 임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 69시간 근무제 단점

    • 근로자의 과로 문제 : 주 69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인해, 근로자에게 과도한 노동 시간이 부여될 수 있어, 과로와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휴가 적용 실효성 문제 : 일정 시간 초과된 근로 시간으로 얻는 휴가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 장기 휴가로 인한 담당자 부재 : 이렇게 얻은 장기 휴가로 인해 담당자가 사라지게 되어 업무에 혼선을 빚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아래 다양한 생활정보 관련 다른 글들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