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KB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 및 후기

    안녕하세요 텔크테입니다.

    나날이 커져가는 가계 빚으로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통은 나이를 불문하고 커져만 가는데요, 노년층은 노후 자금이 부족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중, 장년층은 늘어가는 사교육비, 세금, 집값 등 다양한 지출로 적자를 보기도 합니다. 특히 청년은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그마저도 엄청난 경쟁률에 압도되고 맙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청년들은 쉽사리 돈을 모으기 힘들어졌는데요, 정부는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청년희망적금이라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청년희망적금은, 국내 11개의 은행에서 가입을 받고 있는데요, 다음으로, 국민은행 KB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 및 후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알아보기

    [1] 청년희망적금은, 국민은행을 비롯한 다양한 은행에서 신청과 가입을 받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금리와 이자, 가입 관련 설정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은행의 장단점을 꼼꼼히 비교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청년희망적금은, 비과세이며, 별도의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등, 좋은 조건이 있지만, 특정 조건에 부합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KB 국민은행 앱 접속

    ✓ 국민은행 KB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국민은행 지점으로 직접 방문해도 되지만,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간단히 스마트폰 KB국민은행 앱에 접속하여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 국민은행 앱은, 위와 같이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 등에서, 국민은행이라고 검색하시면, 가장 처음 KB 국민은행 스타뱅킹이라는 이름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앱을 설치하시고,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KB청년희망적금 정보

    ✓ KB청년희망적금의 정보를 보시려면, 하단에 보이시는, 금융 상품을 누르고, 스크롤을 조금 아래로 내리시면 나오는 상품 카테고리에서, 적금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 위와 같이 적금을 선택해주시게 되면, 위처럼 KB청년희망적금이라는 문구가 나타나는 메뉴가 나오는데요, 이 메뉴를 눌러 들어가 줍니다.

    ✓ KB청년희망적금은, 24개월간 최고 연 6.0%(우대 금리 포함), 기본 연 5.0%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으며, 이자 이외에도, 저축장려금을 지급합니다.

    ✓ KB청년희망적금은, 위와 같이 월 최소 1천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저축이 가능하며, 단위는 1천 원 단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저축장려금은 위와 같이, 가입일로부터 12개월까지는, 저축금액의 2%, 최대 12만 원을 지급하고, 13개월에서 24개월까지는, 저축금액의 4%, 최대 24만 원을 지급합니다.

    ✓ 이자지급시기는, 적금의 만기일이 도래했을 때, 지급하는 방식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설명을 충분히 읽으셨다면, 아래 가입 버튼을 눌러줍니다.

    KB청년희망적금 가입

    ✓ KB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게 되면, 가장 첫 번째로, 약관에 동의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약관과 각종 설명을 확인하고 동의하신 후, 아래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 다음을 눌러주시게 되면, 위와 같이 KB청년희망적금에 돈을 저축을 계좌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가입기간은, 2년으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 아래, 가입금액은, 1천 원에서, 50만 원까지, 1천 원 단위로 자유롭게 설정하실 수 있는데요, 저축장려금을 최대로 받기 위해, 50만 원을 입력해보았습니다.

    ✓ 그다음, 출금 정보란에, 본인의 KB 국민은행 계좌를 선택해주시면 되는데요, 그 계좌 안에 본인이 설정한 가입금액 이상의 돈이 입금되어야, 다음으로 진행됩니다.

    ✓ 그런 다음, 아래 비밀번호와 자동이체 등록, 자동이체일 등의 여러 항목을 설정해주신 후, 다음을 눌러, 계속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 그러면, 위와 같이, 본인이 가입한 KB청년희망적금 상품에 관한 정보가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서 가입기간과 가입기간, 적용 금리, 자동이체일, 자동이체 금액 등의 정보가 맞는지 한 번 더 확인하신 후, 다음을 눌러줍니다.

    ✓ ​그러면, 본인의 출금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게 되고,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하게 되면, KB청년희망적금 가입이 완료되었다는 문구와 함께, 가입이 완료됩니다.

    마치며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을 대한민국에서는 청년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청년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적금이 가장 무난한 방법인데요, 만일 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을 알아보고 싶다면, 위 포스팅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국민은행 KB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 및 후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